본문 바로가기
Daily

KGM 무쏘 EV 2025년 보조금 지원: 실구매가와 경쟁 모델 비교

by 4and20 2025. 3. 11.
반응형

[KG모빌리티 무쏘 EV]는 국내 최초의 전기 픽업트럭으로, 2025년 보조금 정책에 힘입어 가격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 본 문서에서는 국가 보조금 및 지자체 추가 지원금, 보조금 적용 후 실구매 가격, 경쟁 모델과의 보조금 및 가격 비교, 유지비 분석, 보조금 신청 방법 및 조건에 대해 최신 정보를 종합해 소개합니다.

국내 최초 전기 픽업인 KG모빌리티 무쏘 EV. 전기 화물차로 분류되어 높은 수준의 보조금을 받는다.

국가 보조금 및 지자체 추가 지원금

 



무쏘 EV에 대한 2025년 국가 보조금은 652만원으로 확정되었습니다. 이는 동일한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탑재한 토레스 EVX 승용(367만원)이나 토레스 EVX 밴(352만원) 보조금의 약 두 배에 달하는 금액입니다. 무쏘 EV가 전기승용차가 아닌 전기화물차로 분류되어 별도 기준이 적용된 덕분으로, 픽업 트럭의 적재중량 등 특성이 보조금 산정에 유리하게 작용했습니다.

국고보조금 외에 지방자치단체 추가 지원금도 지역에 따라 지원됩니다. 서울시는 약 186만원의 지자체 보조금을 책정한 반면, 인천시는 316만원, 제주특별자치도는 310만원 등 지역별로 차이를 보입니다. 대전(229만원), 부산·세종(204만원), 대구·광주(192만원) 등으로 지자체 예산과 정책에 따라 지원 금액이 상이하므로, 거주 지역의 보조금 예산과 지급 기준을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일부 지역은 시·군·구 단위로도 차등 지원될 수 있습니다.)

보조금 적용 후 실구매 가격

 



무쏘 EV의 기본 가격은 트림에 따라 STD 4,800만원, DLX 5,050만원으로 책정되어 있습니다. 여기에 국고보조금 652만원과 지역 보조금을 반영하면 소비자가 부담하는 실구매 가격은 크게 낮아집니다. 예를 들어 서울시 기준으로는 STD 트림이 약 3,962만원 수준까지 내려가 3천만원대 후반의 가격을 형성하며 , DLX 트림은 약 4천2백만원 안팎이 됩니다. 보조금 지원액이 더 큰 일부 지방의 경우 STD 트림 실구매가가 3천만원대 중반까지 내려갈 수도 있습니다.

또한 전기 화물차에 적용되는 세제 혜택으로 차량 가격 부담이 추가 경감됩니다. 무쏘 EV 구매 시 개별소비세와 교육세가 면제되고, 취득세도 5% 감면(최대 140만원 한도)됩니다. 전기 픽업트럭은 연간 자동차세도 불과 28,500원에 불과해 세금 측면에서도 유리합니다. 이처럼 국가·지방 보조금과 세제 혜택을 모두 적용하면 무쏘 EV는 초기 구매비용 면에서 상당한 경쟁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한편 소상공인이 무쏘 EV를 구매할 경우 추가 혜택을 받아 가격 부담을 더 낮출 수 있습니다. 사업자 구매 시에는 차량 가격에 포함된 부가가치세 10% 환급을 받을 수 있으며, 일부 지자체나 중소기업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추가 지원금이 제공되기도 합니다. 실제로 KG모빌리티는 “소상공인이라면 추가 지원과 부가세 환급 등으로 약 1,410만원을 절감하여, 무쏘 EV의 실구매가를 3천300만원대까지 낮출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경쟁 모델과의 보조금 및 가격 비교

 



무쏘 EV의 가격대와 보조금 혜택을 경쟁 전기차들과 비교해보면 그 경쟁력이 두드러집니다. KG모빌리티 토레스 EVX의 경우 2025년 국고보조금이 최대 357만원으로 책정되어 전년보다 약 100만원 감소했습니다. 토레스 EVX는 1회 충전 주행거리 미달(환경부 기준 440km 미만)과 LFP 배터리 탑재로 보조금이 줄었는데, 이를 만회하기 위해 KG모빌리티가 자체적으로 75만원 추가 지원을 결정하기도 했습니다.

토레스 EVX의 판매 가격은 트림에 따라 4,550만원(E5)에서 4,760만원(E7) 선이며, 회사 지원금 75만원에 정부 보조금(약 367만원)과 지자체 보조금(예: 부산시 141만원)을 더한 실구매가는 3,967만원(E5 기준)까지 내려갑니다. 밴 모델인 EVX TV5 트림(화물밴) 역시 보조금 적용 시 약 3,904만원에 구매 가능하다는 계산이 나옵니다. 무쏘 EV STD 트림도 부산 기준으로 국비 652만원과 지자체 204만원을 지원받으면 약 3,944만원(회사 추가지원 없음)으로 EVX와 비슷한 3천만원대 후반 가격이 형성됩니다. 보조금 규모에서 우위에 있는 무쏘 EV는 자체 할인 없이도 토레스 EVX와 대등한 실구매가를 실현하고 있는 것입니다.

국내 대형 전기 SUV인 기아 EV9와 비교하면 무쏘 EV의 가격 경쟁력은 더욱 두드러집니다. EV9은 플래그십 전기차로 기본 가격이 7,337만원부터 시작하는 고가 모델이며 , 차량 가격이 높아 국가 보조금도 약 242만원 수준에 그칩니다. EV9의 일부 트림은 차량가가 8,500만원을 초과해 보조금을 아예 받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서울시 보조금(예: 170만원대 추정)을 합치더라도 EV9의 실구매가는 6천만원 안팎으로 전망되어, 4천만원 이하에서 구매 가능한 무쏘 EV와는 큰 격차가 있습니다. 즉, 대형 SUV나 기존 내연기관 픽업과 비교할 때 무쏘 EV는 가격 면에서 한층 접근하기 쉬운 전기 픽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전기 픽업트럭으로서의 유지비 분석

 


무쏘 EV는 전기차의 낮은 유지비로 운영 경제성이 뛰어난 것이 장점입니다. 80.6kWh 용량의 LFP 배터리로 1회 충전 시 최대 401km 주행(2WD 기준)이 가능하며, 전기 픽업 특유의 개방형 적재함 구조임을 감안하면 준수한 주행거리입니다. 연료비 측면에서 전기는 경유나 휘발유 대비 저렴하여 충전 비용이 크게 절감됩니다. 실제로 무쏘 EV를 5년간 주행하는 데 드는 에너지 비용은 약 580만원 수준으로, 동급 가솔린 픽업트럭 대비 약 1,400만원의 운행비용을 아낄 수 있다고 합니다. 연간으로 환산하면 약 280만원씩 연료비를 절감하는 셈으로, 고유가 시대에 매우 매력적인 수치입니다.

유지보수 비용도 내연기관 차량보다 유리합니다. 전기 픽업은 엔진 오일 교환이나 복잡한 변속기 정비가 불필요해 정기 유지보수 항목이 줄어듭니다. 브레이크 패드도 회생제동 시스템 덕분에 마모가 적어 교체주기가 길어집니다. 게다가 앞서 언급한 세제 혜택(취득세 감면, 저렴한 자동차세)과 더불어 공영주차장 할인, 고속도로 통행료 할인 등의 전기차 우대 정책도 적용됩니다. 이러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면 무쏘 EV의 총소유비용(TCO)은 동급 내연기관 픽업은 물론이고 경쟁 전기 SUV보다도 낮아, 사업용과 개인용 모두 경제적인 선택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보조금 신청 방법 및 조건


무쏘 EV 구매 시 보조금을 받기 위해서는 정해진 신청 절차와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개인은 거주지 관할 지자체의 보조금 대상자로 선정되어야 하며, 신청일 기준 해당 지자체에 30일 이상 주민등록이 되어 있어야 합니다. 또한 만 18세 이상이어야 하며, 1인당 1대의 전기차 보조금만 받을 수 있습니다. 사업자(개인사업자·법인) 역시 사업장 소재지가 해당 지자체에 있어야 하며, 일반적으로 법인 당 신청 대수가 제한될 수 있습니다. 소상공인의 경우 화물 전기차 보급을 위해 우선 선정 대상이 되거나 추가 혜택이 주어질 수 있으므로 지자체별 공고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보조금 신청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우선 차량 구매를 결정했다면 제조사 대리점과 구매 계약을 체결하고, 무공해차 통합누리집(환경부 EV 보조금 사이트)을 통해 신청을 진행합니다. 보조금 신청서, 구매계약서, 주민등록등본(또는 사업자등록증명원 등)을 준비하여 대리점에 제출하면, 대리점이 전산을 통해 보조금 신청을 대행합니다. 각 지자체는 접수된 신청 중 차량 출고가 임박한 건을 우선으로 보조금 지원 대상자 선정(자격 부여)을 합니다. 선정 후 정해진 기간 내(예: 10일 이내)에 차량이 실제 출고되지 않으면 자격이 취소될 수 있으니, 출고 가능 재고가 있는 차량으로 신청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신청이 승인되고 차량을 인도받았다면, 최소 2년간 의무 운행하며 보조금 지원 조건을 지켜야 합니다. 보조금을 받은 전기차는 2년 이내 타 지역으로 판매하거나 명의를 이전할 수 없고, 폐차하거나 수출할 경우 보조금이 반환 대상이 됩니다. 특히 전기화물차의 경우 2년 내 주행거리가 2만km 미만일 때 보조금의 30% 이상이 환수될 수 있으므로, 사업 목적으로 구매했다면 충분히 활용해야 합니다. 이러한 조건들은 보조금 취지를 살려 일정 기간 해당 지역에서 환경 개선에 기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므로, 반드시 준수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보조금 예산은 한정되어 있으므로 선착순으로 마감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2025년 무쏘 EV 보조금을 고려한다면 지자체별 보조금 공고 시기와 신청 시작일을 미리 파악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신청 초기에는 전기차 보급물량의 10% 이상을 취약계층, 다자녀 가구 등 우선순위 대상자에게 배정하는 정책도 운영되므로, 일반 수요자는 가급적 초기 신청 기간에 서둘러 접수하는 편이 안전합니다. 딜러사의 안내를 따르고 필요한 절차를 차질 없이 진행하면, 보조금 혜택을 받아 무쏘 EV를 더욱 합리적인 가격에 구매할 수 있을 것입니다.

맺음말


2025년 KG모빌리티 무쏘 EV는 정부와 지자체의 적극적인 보조금 지원에 힘입어 실구매가를 크게 낮추고 시장에 등장했습니다. 경쟁 전기 SUV 및 픽업 모델 대비 가격 경쟁력과 유지비 절감 효과가 두드러져, 개인 고객부터 사업자까지 폭넓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친환경 트렌드와 경제성을 모두 잡은 무쏘 EV가 국내 전기 픽업트럭 시장의 성공적인 첫 걸음을 내딛을지 주목됩니다. 정부 지원책을 잘 활용하여 부담을 줄이고, 지속적인 관리로 경제적 이점을 극대화한다면 무쏘 EV는 “실용적인 전기 픽업”으로서 충분한 매력을 발휘할 것입니다.

728x90
반응형

4and20님의
글이 좋았다면 응원을 보내주세요!